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이 컵라면 쓰레기는 왜 멀쩡해?” 깜짝 놀랄 차이가 있다 [지구, 뭐래?]
[독자 제공]

[헤럴드경제 = 김상수 기자] 일단 위의 사진부터 다시 보자. 두 개의 컵라면이 있다. 이제 취식할 차례. 먹고 나면 당연히 나오는 게 있으니, 바로 컵라면 사발. 스티로폼, 정확히 말하면 플라스틱 한 종류인 폴리스틸렌페이퍼(PSP) 용기다.

요즘은 종이 소재로 많이 대체됐지만, 여전히 인기 많은 일부 컵라면은 플라스틱 용기를 고수한다.

그런데, 두 컵라면을 취식한 후 나온 플라스틱 용기의 상태가 전혀 다르다. 좌측은 물에 씻어도 지워지지 않는 라면 국물 흔적이 가득하고, 우측은 더할 나위 없이 깨끗하다.

그래서? 이게 무슨 의미이냐고 반문할 수 있다. 하지만, 이 둘의 운명은 전혀 다르다. 하나는 재활용할 수 없는 일반 쓰레기로 땅에 묻거나 태운다. 나머지는 분리배출이 가능하다. 한해에 버려지는 컵라면 PSP 용기 사용량은 5000t 이상.

당연히 플라스틱 사용 제품을 안 쓰고 안 먹는 게 최우선 과제이지만, 어쩔 수 없이 쓴다면 분리배출을 거쳐 재활용만 하더라도 막대한 플라스틱 쓰레기를 줄일 수 있다.

[독자 제공]

사실 위의 사례는 컵라면 용기 자체를 사용하지 않은 사례다. 컵라면 용기와 유사한 형태로 제작된 사기그릇을 대신 사용했다. 컵라면 용기는 그대로 분리배출.

굳이 이 같은 그릇을 추가로 살 필요도 없다. 집에서 널리 쓰는 국 그릇 등으로 대신해도 된다.

사소한 노력일 수 있지만 이유는 있다. 건강에도 좋고 쓰레기도 줄일 수 있다는 것. 주부 A씨는 “아이들이 컵라면을 좋아해 집에서도 자주 먹는 편인데, 집에 있는 큰 그릇에 옮겨 담아 뜨거운 물을 붓는다”며 “건강에도 좋을 것 같고 쓰레기를 분리배출할 수 있는 점도 좋다”고 전했다.

라면 용기를 재활용할 수 있도록 며칠을 투자하는 소비자들도 있다. 흐르는 물에 헹군 뒤 하루에서 이틀 정도 햇볕에 말리면 용기가 다시 하얗게 돌아오기 때문이다.

폴리스틸렌페이퍼(PSP) 소재로 된 컵라면 쓰레기 [네이버 블로그]

소비자들의 노력보다 더 중요한 건 업체들의 노력이다. 플라스틱 사용 자체를 줄이거나 사용한 플라스틱 쓰레기를 수거하는 시스템을 갖추는 데에 있다.

2020년 기준으로 주요 라면업체들이 사용한 컵라면 플라스틱 용기 사용량은 5700t에 이른다. 굳이 수치를 보지 않더라도 얼마나 많은 컵라면 쓰레기가 나오는지는 실생활에서 쉽게 체감할 수 있다.

업체들은 생산한 플라스틱을 수거할 의무가 제도적으로 갖춰져 있다. 이를 반영한 게 재활용의무율이다. 하지만 현재 컵라면에 부과된 의무율은 상대적으로 크게 낮은 상태다. ‘2024년 제품·포장재별 재활용의무율 고시’에 따르면 단일 재질 폴리스틸렌페이퍼의 재활용의무율은 0.532이다.

즉, 업체가 1000개의 컵라면을 만들었다면 그 중 523개만 치워도 더 이상 책임을 묻지 않는 식이다. 종이팩을 제외하면 가장 낮은 수준이다.

dlcw@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