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픽사베이] |
[헤럴드경제=주소현 기자] “병원에서도 일회용품으로 난리에요. 줄이라고 하지만 한계가 있죠”
경기도 소재 한 대학 병원에서 근무하는 간호사 A(25)씨는 최근 병원으로부터 최대한 의료 폐기물쓰레기를 줄여보라는 지침을 받았다. 그 전까진 사실상 병원에선 쓰레기 분리배출은 관심사가 아녔다. 그저 대부분을 의료폐기물로 처리해왔다.
막상 쓰레기를 분리해보려 하니 A씨는 내심 놀랐다. 매일 십수개씩 사용하는 주사기, 장갑, 소독솜, 약품병 등 대부분이 일반 쓰레기로 배출할 수 없는, 그냥 한번 쓰고 버려지는 일회용 의료폐기물이었기 때문.
A씨는 “우리 병원에서만 나오는 쓰레기 양이 어마어마하다. 다른 병원도 다 이만큼 나올 것 아니냐”고 토로했다.
서울 은평구 서울특별시립 서북병원에서 의료진이 의료폐기물을 옮기고 있다. [연합] |
병원들이 넘치는 일회용품 쓰레기로 골머리를 앓고 있다. 병원에서 발생하는 쓰레기의 대부분은 일회용품이다. 환자와 의료인들의 안전, 감염 방지란 이유로 의료기기는 새 것을 쓰고, 쓰고 나면 버린다.
한해 쏟아지는 의료폐기물(2021년 기준)은 약 22만t. 하루로 따지면 매일 600여t이 버려진다. 의료폐기물은 대부분 일회용품인 것도 문제지만, 처리 과정 역시 복잡하고 까다롭다.
코로나 이후 병원에서 쏟아지는 일회용 쓰레기들은 한층 더 급증했고, 이제 고령화에 따라 환자도 늘면서 향후 쓰레기 역시 증가할 것이 자명하다. 이미 2008년 대비 2017년, 약 10년 동안 의료폐기물은 2.5배 급증한 상태다.
[123rf] |
넘쳐나는 병원 폐기물로 ‘쓰레기 대란’이 임박해 있다. 쓰레기는 급증하는데 처리 시설은 부족한 탓이다. 의료폐기물은 일반 쓰레기처럼 처리할 수도 없다.
폐기물관리법상 병원에서 나오는 쓰레기는 ‘지정폐기물’로 분류된다. 따로 지정된 시설에서만 소각해야 한다.
병원 쓰레기 처리 시설은 전국에 13곳으로, 이미 빠듯하게 운영되고 있다. 서울, 전북, 강원, 제주에는 처리 시설이 한 곳도 없다. 이 때문에 병원 쓰레기를 싣은 채 수백㎞를 이동하고 있는 실정이다.
장철민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환경부 등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13곳 중 5곳은 처리 용량 대비 100% 이상, 3곳은 120% 넘게 소화하고 있다. 소각 시설을 늘리거나 넓히려 해도 혐오시설로 다들 반대하고 있어 처리장을 추가하는 것도 난항을 거듭 중이다.
경북 포항시청에서 '포항 청하면 의료폐기물처리시설 반대대책위원회' 관계자들이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연합] |
결국 유일한 해법은 의료폐기물을 줄이는 것. 그래서 최근 병원들은 의료폐기물 내 분리배출부터 강화하는 추세다. 포장재나 종이, 플라스틱 등을 따로 빼내는 식이다.
송금희 보건의료노조 사무처장은 “소독솜, 주사기처럼 환자와 직접 닿는 것들을 일회용으로 쓸 수밖에 없지만 가위, 집게 등 집기들은 소독하면 계속 쓸 수 있다”고 설명했다.
병원 쓰레기를 멸균해 일반쓰레기로 버리려는 시도도 있다. 멸균·분쇄하면 부피를 최대 80% 줄이면서 비용도 낮출 수 있지만, 현재는 일정 규모 이상 갖춘 대형 병원들만 자체적인 의료폐기물 멸균·분쇄 시설을 갖출 수 있다.
addressh@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