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홍길용의 화식열전] 인플레 무서운 이유…물가는 오르는데 월급 안 오른다면
소득 늘어냐 소비위축 피할수
실적·경영효율 개선 바탕돼야
노동유연성 높은 美서 현실화
기업 비용대비 효율 잘 살펴야

18일(현지시간) 뉴욕증시에서 기술주 뿐 아니라 JP모건, 골드만삭스 등 금융회사들의 주가도 모두 급락했다. 이날 미국채 수익률(yield)은 급등, 10년물 1.877%, 2년물 1.0486%로 장단기 지표물 모두 코로나19 이전 수준까지 치솟았다. 금리가 오르면 은행주에는 호재라는 게 상식이지만, 이들의 주가하락 배경을 보면 특이한 부분이 눈에 띈다. 성과보상을 위한 인건비로 지난해 4분기 실적이 전년동기 감소할 정도로 줄었다. 추가 성과보상 규모가 어마어마하다. 골드만삭스 44억 달러, JP모건 36억 달러, 씨티그룹 29억달러 등이다. 임금과 보상이 증시의 주요한 재료가 되기 시작했다.

원자재 가격이 오르면 금리를 올려 물가를 진정시킬 수 있다. 문제는 임금이다. 물가가 오른다고 임금을 올리기는 어렵다. ‘합리적’ 임금인상은 기업들의 실적이 바탕이 되어야 한다. 영업이 잘 되거나, 경영효율이 높아져야 한다. 이렇게 임금이 오르면 구매력이 높아져 물가상승에 따른 경기위축 우려를 낮춘다. 지난해 12월 미국 노동부가 발표한 시간당 임금은 전년 동월 대비 4.7% 올랐다. 2019년 2.9%보다 높다. 더 높은 임금을 받기 위해 일터를 떠나는 근로자 비율은 역대 최대로 치솟았다.

경제가 제대로 돌아가려면 소득과 소비의 선순환이 중요하다. 지난해까지는 임금 등 근로소득 보다 주식, 부동산, 가상자산 등 자산가격 상승이 소비의 기반이 됐다. 올해는 금리가 오르면서 자산시장의 가격부담이 높아졌다. 특히 이자율 상승으로 부채부담이 눈덩이처럼 불어날 수 있다. 소비 여력을 확보하려면 임금 등 근로소득이 늘어야 한다. 임금을 올려줄 수 있는 일자리, 기업이 얼마나 되느냐가 중요하다. 가격이 높아져도 장사를 잘할 수 있는 독과점 기업, 경영효율이 높은 혁신기업이다.

노동시장이 유연하지 못해 이직이 많지 않은 우리나라지만 최근 이직이 상당히 활발하다. 주로 전통기업에서 혁신기업으로의 이동이다. 혁신기업들은 상당한 임금과 함께 파격적인 복지로 인재를 모으고 있다. 반면 전통 대기업들 상당수는 높은 임금에도 불구하고 혁신의 성과는 미미하다. 그럼에도 노조의 힘이 강해 올해 대기업 임금단체협상에서 상당한 충돌이 예상된다. 물가 상승을 이유로 높은 임금 상승률을 요구할 게 뻔하기 때문이다. 이는 원자재가격 상승과 겹쳐 다시 제품·서비스 가격 인상으로 이어져 경기에 치명적 타격을 줄 수 있다. 성과나 효율과 괴리된 보상은 인력의 효율적 재배치를 가로막는 요소이기도 하다. 우수한 인재가 안일한 시스템에 안주하게 되면 그만큼 혁신 동력은 약해지 기때문이다.

우리 경제는 대기업 의존도가 높지만, 일자리로는 중소기업 비중이 더 크다. 물가상승률을 넘어서는 임금 상승을 감당할만한 곳들이 많지 않다. 금리가 오르면 한계기업들의 빚 부담은 실질적 경영위협이 될 수 있다. 국민 전체로 보면 올해는 실질소득이 줄어들 가능성이 크다. 소비를 제약하는 요인이자, 증시에 부정적 재료다. 인플레보다 더 무서운 것은 인플레를 이겨낼 소득증가를 감당하지 못하는 효율이다. 올해 투자에서 중요한 것은 어느 경제가, 얼마나 효율을 높이느냐다. 기업 실적과 경영효율, 그리고 임금의 관계를 살펴야 한다. 한계기업 구조조정이 중요한 이유이기도 하다.

kyhong@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