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꺼지지 않는 ‘무공천 논란’… 원인은?
[헤럴드경제=홍석희 기자]‘기초선거 무공천’을 연결고리로 통합에 ‘골인’한 새정치민주연합에 무공천 후폭풍이 거세다. ‘나홀로 무공천’을 할 경우 지방선거에서의 참패가 자명하기 때문이란 것이 이유다. 소총과 목검의 전쟁이란 비유까지 나온다. 공천을 하지 않을 경우 무너질 지역 조직 탓에 차기 총선ㆍ대선도 어려울 것이란 관측도 나온다. ‘김한길도 흔들린다’는 분석마저 제기된다.

오는 6월 4일 전국동시 지방선거에서 유권자들은 모두 7장의 투표 용지를 받는다. 광역단체 선거(3장)와 기초단체 선거(3장) 그리고 해당 지역의 교육감 선거(1장) 등이다.

이 가운데 새정치연합이 공천을 하지 않겠다고 한 것은 ‘기초단체 선거(3장)’를 가리킨다. 그러나 다수의 경우 광역단체에 대해선 TV 등 언론을 통해 어떤 인물이 선거에 나왔는지 알지만, 기초선거의 경우엔 정당을 보고 투표를 하는 것이 다수다. 국회의원들 가운데 상당수도, 타 선거구의 시ㆍ군ㆍ구 의원이 누군지 모르는 경우도 허다하다.

지난 2010년 기초의회 의원 수는 2888명에 이른다. 결국 ‘어느 당 후보’란 표지가 당락에 결정적이 된다는 얘기다. 새정치연합이 최종적으로 무공천을 결정할 경우, 자신이 선호하는 정당을 보고 투표하는 유권자들은 혼란에 빠질 개연성이 높다.

투표용지에선 ‘기호 2번’도 삭제된다. 예컨데 용지상 첫번째 칸엔 ‘1번 새누리당’이, 두번째 칸에는 ‘3번 통합진보당’, 세번째 칸에는 ‘4번 정의당’이 인쇄된다. 새정치연합 후보의 경우엔 해당 선거구에 나온 무소속 후보들의 수에 따라 ‘기호 5번’이나 그 이상의 숫자를 무작위로 받게 된다. 이 때문에 선거운동이 쉽지 않다는 것이 출마자들의 주장이다.

예컨데 ‘기호 O번입니다’라고 유권자들에 말을 해야 하는데, 최종적으로 출마 후보의 수가 정해지는 5월 말께 이후에야 기호가 정해지기 때문이다. 또 새정치연합 출마자들은 탈당 절차도 밟아야 한다. 당선자들의 복당 여부도 고민인데, 당으로부터 도움을 받지 못한 인사들은 계속 무소속으로 남거나 새누리당으로 입당할 개연성도 있다.

새정치연합 내에선 흉흉한 소문도 나돈다. 새정치연합이 현역 단체장으로 있는 선거구에 이름이 똑같은 무소속 후보를 출마시키기 위해 새누리당이 ‘동명이인’들을 모집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유권자들의 혼란을 부추겨 야권표 분산을 노리겠다는 것이 새누리당의 전략이란 소문이다. 지난 3일 ‘공천을 해야한다’고 주장한 신경민 최고위원도 유사 주장을 폈다. 그는 “골목들이 이미 파란 잠바로 물결을 이룬다. 새누리당 공천 탈락자와 정치낭인들까지 파란잠바를 입고 있다. 반대로 빨간 잠바 수는 줄어들고 있다. 이게 현실”이라고 지적했다.

문제는 새정치연합 ‘통합’의 연결고리가 바로 ‘기초선거 무공천 공약을 지키겠다’는 것에 있었다는 점이다. 통합의 ‘대의명분’이었던 기초선거 무공천 약속을 ‘현실론’을 이유로 뒤집을 경우 ‘새정치’가 빛을 잃을 공산이 크다.

박근혜 대통령과 새누리당을 줄기차게 공격해왔던 ‘공약 파기’ 프레임이, 되레 새정치연합에 부메랑이 돼 돌아올 가능성이 높다. ‘무공천 공약’이 뒤집어질 경우 안철수 공동대표와 민주당과의 ‘동거’가 지방선거 전에 무너질 수도 있다는 다소 성급한 관측도 나온다.

hong@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