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안함 폭침 후 지난 1년간 군 당국은 북한 잠수함정에 또다시 기습당하지 않기 위해 천안함과 같은 초계함의 대잠 작전능력을 강화해왔지만 개선된 것은 별로 없다. 북한은 천안함보다 훨씬 더 교묘하고 진화된 방법으로 공격해 올 것이 뻔한데 우리 해군은 고작 어뢰피습 방지를 위한 임시대책이라며 시속 20km이상으로 항해하고, 2척이 함께 다니도록 해 기습을 막자는 원시적 수준의 대응에 머물고 있다.
24일 군당국에 따르면 건조된지 오래된 초계함 10여척의 잠수함정 탐지능력을 높이기 위해 300억원 규모의 소나(음향탐지장비) 성능 개선 예산을 확보했지만 소나 성능개량은 아직까지 이뤄지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천안함 함미 인양 모습. |
이런 가운데 북한이 지난 1996년 강릉에 침투했던 상어급 잠수함(300t급)보다 선체 길이가 5m가량 늘어나고 수중 속력이 10km이상 빨라진 신형 상어급 잠수함 ‘K-300’을 건조해 동ㆍ서해 해군기지에 실전 배치하는 등 잠수함 전력(戰力)을 증강하고 있어 북한의 잠수함정을 탐지하고 격파하는 전력의 확보는 긴요하다.
그럼에도 서해에서 활동중인 20년 이상 된 초계함들은 천안함이 쓰던 것과 같은 구형 소나장비를 그대로 쓰고 있다. 초계함 함정 밑바닥에 신형 소나를 달기에는 신형 소나의 부피가 너무 커 배의 균형을 깰수 있고 초계함이 수년내 단계적으로 퇴역하기 때문에 돈많이 드는 신형 소나교체는 사실상 포기한 상태이기 때문이다.
해군은 구형 초계함 26척과 호위함 9척을 대체하기 위해 신형 소나 등을 장착한 2300t급 차기 호위함 건조를 추진하고 있지만 내년부터 1~2년 단위로 차기 호위함 1척씩 모두 20여척을 건조한다는 계획이어서 기존 함정을 대체하는 데 상당한 시일이 걸릴 전망이다. 결과적으로 군이 천안함 피격과 같은 기습공격을 막아내기 위해 약속했던 전력 확보작업은 1년여간 서류상의 계획으로만 존재하고 있었던 셈이다.
전문가들은 “북한이 천안함을 공격하고 8개월만에 연평도 포격까지 감행할 수 있었던 것은 확성기 심리전 재개 무산, 북의 NLL 남쪽 해상 포격도발에 응사도 하지않는 등 우리의 나약한 대응을 봤기 때문”이라며 “전국민적인 경각심과 아울러, 말보다 단호하게 응징하는 것만이 추가도발을 막을 수 있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김대우 기자@dewkim2>
dewkim@heraldcorp.com
<천안함 사건 일지>
▶3월26일 오후 9시22분 = 천안함, 백령도 서남방 해상 침몰. 58명 구조, 46명 사망.
▶3월30일= 해군특수전여단 수중폭발팀(UDT) 한주호 준위 구조하다 쓰러져 순직.
▶4월1일= 군, 열상감지장비(TOD) 화면 전체분량 공개. 사고시각 9시22분으로 정정.
▶4월2일= 수색 작업에 참여했던 어선 ‘금양 98호’, 조업구역으로 돌아가던 중 침몰.
▶4월3일= 천안함 함미 부분 상사식당 부분에서 첫 시신으로 발견.
▶4월7일= 민ㆍ군 합동조사단 1차 조사결과 발표. 천안함 생존장병 기자회견.
▶4월15일= 천안함 함미 인양. 36명 시신 수습.
▶4월16일= 민ㆍ군 합동조사단, 외부폭발 가능성 발표.
▶4월24일= 수색작업 종료(실종 6명 미발견), 함수 인양, 평택 이동.
▶4월25일= 민ㆍ군 합동조사단, 비접촉식 외부폭발에 의한 침몰 발표.
▶5월3일= 감사원 천안함 사건 관련 군 감사 착수.
▶5월6일= 국방부 어뢰탄약 추정 화약성분 검출 확인.
▶5월20일= 민ㆍ군 합동조사단 발표 “북한제 250㎏ 중어뢰 공격”..‘1번’ 논란
▶5월24일= 이명박 대통령, 대국민담화 통해 ‘단호한’ 대북 대응조치 천명.
▶6월2일= 지방선거, 여당 참패
▶6월4일= 정부, 천안함 사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에 회부.
▶6월9일= 감사원, 이상의 합참의장 등 지휘부 25명 징계 등 적정한 조치 국방부에 통보.
▶6월11일= 참여연대, 유엔 안보리 의장에게 천안함 조사결과 의문 제기 문건 발송.
▶6월27일= G8(주요 8개국) 정상회의 천안함 대북 비난성명 발표
▶7월9일= 유엔 안보리, 천안함 침몰 비난 의장성명